티스토리 뷰

면역이란 외부에서 침입한 나쁜균으로부터 몸을 방어하는 작용을 일컬으며, 이러한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세포들을 "면역세포"라고 합니다.

 


자가면역질환이란 이러한 면역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여 정상세포를 외부 침입자로 오인하여 정상 장기나 조직을 공격하여 생기는 질환을 컫습니다. 자가면역질환 종류로는 류머티스 관절염, 크론병, 다발성 경화증, 제1형 당뇨, 루푸스, 궤양성 대장염 등이 있습니다.

 

면역체계는 림프구절과 면역 전달물질이 관여하는 매우 복잡한 체계인데요, 외부 항원에만 반응하고 자기 몸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는 자가 반응 체계에 문제가 생겨 발생된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 종류가 류머티즘과 아토피입니다.

 


체내에 들어오지 말았어야하는 나쁜균이 들어오면 그에 대한 면역방어 반응으로 보조T세포가 작동하는데요, 자가면역 질환이 있는 경우에 자신의 세포, 조직에 대해서 항체 또는 T세포가 반응합니다. 면역 반응으로 작동하는 보조헬퍼T세포가 정상적인 세포, 장기에 대해서 이물질에 방어작용을하듯 면역체계가 반응하는 것입니다.

T세포는 면역에서의 기억능력 및 항원에 오염된 세포를 파괴하는 능력을 가지며, B세포에 정보를 제공하여 항체 생성을 돕기도 합니다. 즉, 흉선에서 유래하는 림프구로 면역에서의 기억능력을 가지며 B세포에 정보를 제공하며, 세포의 면역에 주된 역할을 합니다. T세포는 기능에 따라서 표면항원을 가지고 그들에 대한 항체를 사용함으로써, TH1과 TH2로 나눌 수 있으며, TH1도움T세포는 세포면역을 발동시키고 TH2도움T세포는 체액 면역활동을 발동시키는 역할을합니다.

 

체내에 독성이 들어올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TH1도움T세포가 활동을 시작하는데요 이 세포의 활동이 과잉일 경우 정상세포를 유해균으로 오인하고 공격하게됩니다. TH2도움T세포가 과잉으로 작용할 경우 알러지 질환이 생기며, 정상세포를 잘못 공격하여 자가면역질환 종류인 아토피, 천식, 비염, 두드러기 등을 발생시킵니다.

 

면역세포의 대부분은 장에서 살아 움직이는데요 장 내에 있는 면역세포들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식습관과 생활습관에 유의하여야합니다. 장 점막에 붙어있는 미생물이 외부 유해 물질이 들어왔을 때 이에대한 방어체계를 갖추는데요, 장에 들어온 음식물의 소화 흡수를 보조하는 것은 물론 발효와 숙성과정을 도모합니다.

 


자가면역질환 종류의 질환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 점막에 유익한 식습관이 중요합니다. 소화와 흡수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음식물을 꼭꼭씹어 잘게 부수어 섭취하는 것은 물론 소화가 용이한 형태로 조리하여 섭취합니다. 장의 활발한 활동을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이 중요하며, 첨가물이 많이 들어있는 인스턴트 식품을 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